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2호
발행일
2025.06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6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6 volumes
총 논문 수
738 articles

초록

이 연구는 정부 간 재정관계에서 지방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으로서 차등분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재정조정제도의 개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에 초점을 두고, 법상 재정 특례의 한계와 재정 자료를 토대로 특례시의 재정 현황을 진단하였다.
차등분권은 자치단체의 다양한 재정 수요와 역량을 고려하여 권한과 재원 부여하는 분권 방식으로, 획일적 분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에 대한 재정 특례의 구체화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조정에 있어서도 기계적 형평의 추구로 자치단체가 가진 재정력 순위가 역전되는 등 자치단체 간 다양성의 발현이 억제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재정 특례 논의가 설득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재원의 순증을 꾀하는 것이 아닌 사무 이양에 상응하는 합리적이고 정밀한 비용 추계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대도시의 특수 행정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기준재정수요 산정 산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함으로써, 특례시에서 나아가 향후 지방소멸 등 다양화되는 재정수요에 대응한 정부 간 재정관계의 재구조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necessity of Asymmetric Decentralization as an institutional alternative that can reflect local diversity in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and to propose tasks to improve the intergovernmental transfer system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focused on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 million, and diagnosed the fiscal status of special case citie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fiscal special case under the law and fiscal data.
Asymmetric Decentralization is a decentralization system that grants authority and financial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e financial needs and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is discussed as a mean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ymmetric decentralization. However, in Korea, the level of fiscal special case for special cas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or more has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pursuit of mechanical equity in finance has led to the reversal of the ranking of local governments' fiscal capacit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diversity among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the discussion of fiscal special case to be convinc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justification through reasonable and precise cost estimation of the transferred tasks, rather than simply seeking a net increase in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by suggesting that improvements in the calculation formula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large cities are needed when calculating standard administrative need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restructure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in response to diversified fiscal needs, including the disappearance of local gover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설계
Ⅲ. 대도시 특례 논의와 재정 특례 현황
Ⅳ. 정부 간 재정관계에서 특례시 재정 실태와 대안
Ⅴ. 결론

참고문헌 (63)

  1. 강광수. (2021). 일본 대도시제도로서 지정도시 제도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특례시 제도 운용에의 시사점. 「한국행정논집」, 33(4), 783-805.
  2. 금창호·김정숙. (2019). 「시군구 특례제도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해외 사례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 고경훈. (2014). 대도시 사무특례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7(4), 75-100.
  4. 구균철·김경민. (2018). 재정분권의 정치경제학적 효과 분석: 정부책임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5. 김순은. (2008). 정치·행정권한의 차등분권과 헌법개정: 정치·행정권한의 비대칭적 분권(Asymmetrical Devolution). 「세미나 및 토론회」, 2008(1), 35-59.
  6. 김순은. (2013). 대도시 행정체제의 개편논의와 방향: 도시정부의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4), 55-77.
  7. 김은경. (2007). 수도권에 대한 재정·조세정책 실태 분석과 개선 방향. 「재정정책논집」, 9(2), 133-160.
  8. 김의섭. (2022). 분권, 차등분권과 지역균형발전: 문재인정부 분권의 성과와 과제. 「재정정책논집」, 24(1), 29-83.
  9. 김필헌. (2014). 보통교부세 산정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3(8), 1-126.
  10. 김필헌. (2022). 지방세 확충과 보통교부세 배분구조 재편 병행해야. 「월간 공공정책」, 6월호, 14-16.
  11. 김하정·한상연. (2023).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특례시 도입과정 분석. 「도시행정학보」, 36(1), 73-89.
  12. 김홍환. (2018). 참여정부 재정분권 정책에 대한 평가: 문재인 정부 재정분권정책 추진에 대한 제언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23(2), 1-38.
  13. 송동현·문현미. (2022). 문재인 정부의 지방자치분권 연구: 대통령 연설문과 언론의 프레임 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2(4), 45-72.
  14. 오영균. (2008). 재정분권과 연성예산제약(soft budget constraint)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6(3), 121-143.
  15. 유수동·박현욱. (2023). 시군구 특례제도의 차별성과 발전방향: 대도시 특례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5(2), 51-70.
  16. 윤필환. (2021). OECD 가입국의 지방분권 추진과 정책적 시사점. 「분권레터」, 80.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17. 이병량·정재진·조광래. (2008). 재정분권 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2(2), 203-236.
  18. 이서희·문소영·홍근석. (2023). 지방세 감면과 지역경제와의 관계: 투자진흥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3(2), 33-58.
  19. 이우권. (2019). 대도시 특례제도 현황분석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연구」, 36(2), 23-51.
  20. 이재원. (2020). 재정분권과 갈등 그리고 지방재정의 수평적 재정조정제도 활성화를 위한 조건. 「한국지방재정논집」, 25(3), 33-61.
  21. 이재원. (2025). 지방재정 관리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제도기반 개선과제: 지방재정법과 행정안전부 성과관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30(1), 35-72.
  22. 이진수. (2020).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안과 제주특별자치도의 차등 분권의 지향점: 제주특별자치도의회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1(1), 33-55.
  23. 임상빈. (2019).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와 자주세원 확보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49-68.
  24. 임현종. (2025).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특례시 제도의 법적 쟁점: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법연구」, 25(1), 71-96.
  25. 정재진. (2011).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친 영향. 「정부학연구」, 17(2), 289-326.
  26. 정재진. (2020).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출의 경쟁과 확산에 관한 연구: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6(2), 133-168.
  27. 정재진. (2022). 도-시군간 재정제도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수원시정연구원.
  28. 정재진. (2023). 특례시 재정보전에 대한 사례연구. 수원시정연구원.
  29. 정재진·김지연. (2011). 재정분권정책의 효과성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정책연구」, 11(3), 275-298.
  30. 주만수. (2014). 지방정부의 재정력격차와 재정력역전 분석: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활용. 「경제학연구」, 62(3), 119-145.
  31. 지방재정365. https://www.lofin365.go.kr (2025.05.01. 접속).
  32. 최문구. (2023). 특례시 재정특례 확보·강화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33. 최창수. (2024). 지방자치법의 시·군·구 특례 제도와 분권 전략의 변화: ‘주어지는’ 분권에서 ‘획득하는’ 분권으로. 「입법과 정책」, 16(1), 345-374.
  34. 최철호. (2021). 특례시의 법령상의 특례와 사무이양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법연구」, 21(2), 77-100.
  35. 하능식. (2017). 재정분권 수준의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지방세포럼」, 31, 12-27.
  36. 하혜수·최영출. (2002). 차등적 분권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영·미·일·북유럽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2), 109-128.
  37. 하혜수. (2004). 차등적 지방분권제도의 한국적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8(6), 153-178.
  38. 하혜수. (2018).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2), 3-35.
  39. 하혜수. (2024). 우리나라 지방분권 유형별 차등 성과 원인 분석: 행태, 제도,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3(2), 223-247.
  40. 하혜영. (2020). 지방자치단체 특례시 제도 도입 현황과 주요 쟁점. 「이슈와 논점」, 1731호. 국회입법조사처.
  41. 하혜영. (2025). 인구 100만 특례시의 주요 쟁점과 향후 개선 과제. 「이슈와 논점」, 2364호. 국회입법조사처.
  42. 황소하. (2016).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형평화 효과와 재정력 역전. 「한국지방재정논집」, 21(3), 93-125.
  43. 형시영. (2006). 대도시행정의 차등적 분권화와 행정특례에 관한 연구: 일본의 차등분권과 정령지정도시의 발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1), 187-207.
  44. 홍근석·라소영·주운현. (2023).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보통교부세 개편 방안. 「한국정책연구」, 23(4), 105-138.
  45. 홍근석·이서희·문소영. (2022). 보통교부세 재정조정 기능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기준재정수입액 산정방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6(2), 173-197.
  46. 홍준현·하혜수·최영출. (2006). 지방분권 수준 측정을 위한 지방분권 지표의 개발과 적용. 「지방정부연구」, 10(2), 7-30.
  47. 행정안전부. (각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개요」. 행정안전부.
  48. 행정안전부. (각년도). 「지방교부세 산정 내역」. 행정안전부.
  49. 행정안전부. (각년도). 「보통교부세 산정해설」. 행정안전부.
  50. Allain-Dupré, D., Chatry, I., & Moisio, A. (2020). Asymmetric decentralisation: Trends, challenges and policy implications. OECD Regional Development Papers, No. 10. Paris: OECD Publishing.
  51. Bahl, R. W. (2000). Intergovernmental transfers in developing and transition countries: Principles and practice.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21097.
  52. Bergvall, D., Kraan, D.-J., & Merk, O. (2006). Intergovernmental transfers and decentralised public spending. OECD Working Papers on Fiscal Federalism, No. 3. Paris: OECD Publishing.
  53. Bird, R. (2003). Asymmetric fiscal decentralization: Glue or solvent? International Studies Program Working Paper Series, Andrew Young School of Policy Studies, Georgia State University.
  54. Daniel, B., Claire, C., Kraan, D.-J., & Merk, O. (2006). Intergovernmental transfers and decentralized public spending. OECD Journal on Budgeting, 5(4), 111–158.
  55. Fjeldstad, O. H. (2001).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of issues. Bergen: Chr. Michelsen Institute. CMI Working Paper, 2001:11.
  56. Jun Ma. (1997). Intergovernmental fiscal transfers in nine countries: Lessons for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57. Musgrave, R. (1959). The theory of public finance. New York: McGraw-Hill.
  58. Musgrave, R., & Musgrave, P. (1989). Public finance in theory and practice (5th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
  59. Oates, W. E. (1972). Fiscal federalism.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60. Randall, S. J., & Tadashi, Y. (2005). Getting the most out of public sector decentralization in Korea economics. OECD Working Paper, No. 468.
  61. Tanzi, V. (1996). Fiscal federalism and decentralization: A review of some efficiency and macroeconomic aspects. In Bruno, M., & Pleskovic, B. (Eds.), Annual World Bank Conference on Development Economics.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62. Tiebout, C. M.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5), 416–424.
  63. Watts, R. (1999). Comparing federal systems (2nd ed.). Montreal and Kingst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38 articles / 76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22) 제25권 2호(논문 수 11)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