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2호
발행일
2025.06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6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6 volumes
총 논문 수
738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통한 매개 경로를 통해 그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이 두 변수가 결합될 때 혁신행동을 강화하는 심리적 경로로 기능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단순한 제도적 조건이 아니라, 구성원의 내면적 동기와 정서적 몰입을 유도하는 전략적 자원으로 작용할 때 비로소 혁신행동을 실질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조직관리 전략이 병행될 때, 공공부문의 창의성과 혁신역량이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mechanisms that promote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sector employees. Specifically, it analyzes how job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justice influence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rol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resources—including job autonomy and internal communication—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is relationship is partially mediated by both PSM and OC. In contrast, organizational justice exerts a negative 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is negative impact is attenuated through indirect pathways involving PSM and OC. Notabl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PSM and OC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combined presence of these two psychological constructs plays a critical role in facilitating innov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job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justice, rather than being mere institutional conditions, can serve as strategic enablers of innovation when they foster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organiza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both PSM and OC are essential for strengthening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the public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105)

  1. 강동철. (2017). 공공봉사동기(PSM)와 조직분위기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그리고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3(3), 231–266.
  2. 강지선·임효숙. (2020).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2(3), 503-534.
  3. 강지윤·박상훈·양선규. (2022). 소통의 리더십: 리더십과 의사소통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논총」, 7(1), 23–59.
  4. 고대유. (2022). 혁신지향문화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방안 모색: 목표명확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9(2), 183–212.
  5. 고명철. (2023). 직무자원,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질 인식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의 동기부여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5(4), 809–836.
  6. 금동일·임준형. (2021). 정부조직의 혁신문화와 공무원의 직무몰입이 재난관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와 임파워링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1), 149–178.
  7. 김국진·강지선. (2019).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한국행정학보」, 53(1), 1-29.
  8. 김문준·김노사. (2019).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지」, 24(1), 1-23.
  9. 김상묵. (2018). 공공봉사동기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정부학연구」, 24(3), 43–112.
  10. 김상묵·노종호. (2017). 절차공정성이 공공조직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1(2), 111-138.
  11. 김상숙·이근주. (2020). 조직공정성과 공공봉사동기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분석: 사회적 교환이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4(1), 87-112.
  12. 김선우·서상혁. (2018). 조직의 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21(3), 1021–1049.
  13. 김성엽·이지안·유정환·박성민. (2023). 서번트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MZ세대 공무원의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 매개효과와 세대 간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20(3), 1–37.
  14. 김소라. (2022). 공공봉사동기와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3), 123-150.
  15. 김영곤·김주경. (2016). 혁신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일중독의 영향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3), 163–198.
  16. 김응일. (2023). 공무원의 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질과 후생복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7(2), 43–64.
  17. 김정민·고혜원·이상호. (2020). 조직 의사소통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3(2), 189–210.
  18. 김지수·윤수재. (2019).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조직학회보」, 16(2), 45-72.
  19. 김지현. (2021). 공공부문 조직에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8(2), 73-98.
  20. 김진아·문광민. (2021).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1), 153-180.
  21. 김태호·노종호. (2010). 공공봉사동기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8(3), 143-168.
  22. 김필·정윤진·임도빈. (2020).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8(1), 78–108.
  23. 남승하. (2016). 조직공정성과 조직정치지각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 조직정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4), 31–64.
  24. 남승하·정종원. (2017).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4), 27–55.
  25. 노종호. (2021).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5(1), 55-78.
  26. 박순애·이혜연. (2017). 공공봉사동기와 성과중심 보상제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정성 인식을 매개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2), 25-50.
  27. 박순환·이병철. (2017).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21(2), 181–207.
  28. 박이레·박채린 & Khaltar, O. (2023). 공공조직의 소통문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지방정부연구」, 26(4), 261–288.
  29. 박정호. (2016). 공공부문에서의 조직공정성과 조직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 간의 관계: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2), 231-260.
  30. 박주상·고명석. (2024). 진성리더십이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와 공직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해양경찰학회보」, 26(1), 103-132.
  31. 박현욱·유수동. (2023). 변혁적 리더십, 공공봉사동기, 혁신 지향 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61(1), 215–249.
  32. 배석환·박형수·문국경. (2021). 분배적 공정성과 절차적 공정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대 간 차이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1(4), 97-123.
  33. 백성욱. (2017). 유소년 스포츠클럽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종사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경희대 체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서귀분·최도림. (2022).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의 관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9(2), 41-65.
  35. 송건섭·나병선. (2014). 인적자원관리 구성요소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간의 인과관계.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1), 327–350.
  36. 송정수·양필석. (2008).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63-87.
  37. 송충근. (2022).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자원이론을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5(4), 204-237.
  38. 신황용·이희선. (2013).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및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한국행정학보」, 47(3), 157-179.
  39. 안승근·이진구. (2023). 직무자율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HRD연구」, 25(4), 39-68.
  40. 유승현·김준성. (2023).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채용유형에 따른 목표모호성, 역할모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20(2), 79-120.
  41. 유정환·박성민. (2024).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성 연구: 세대의 조절효과와 공공봉사동기 및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55(2), 259-298.
  42. 이기형·이성심. (2024). 민경채 공무원이 인식한 리더십과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협업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2), 1-19.
  43. 이연실·김선혁. (2024). 공공조직의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1), 33–55.
  44. 이용규·정석환. (2007). 공조직에서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3(1), 7-34.
  45. 이장범·양은진. (2023). 자율성과 조직성과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공공봉사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조직학회보」, 19(4), 73-102.
  46. 이준호. (2023).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20(2), 231-254.
  47. 이지혜·박성민. (2021).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변화관리 인식과 공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0(3), 345-376.
  48. 이지혜·왕태규. (2024). 공무원의 업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 「한국행정학보」, 58(1), 59–88.
  49. 이홍재·차용진. (2014).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4, 1169-1184.
  50. 이희태. (2015). 지방정부의 성과중심적 인사관리의 공정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9(3), 53-75.
  51. 인사혁신처. (2022). 공직문화 혁신 기본계획 및 지표체계 보고서. 인사혁신처.
  52. 임혜빈·주혜린. (2022). 성과평가의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M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6(2), 379-403.
  53. 장세은·전소희. (2024).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보」, 23(1), 69-97.
  54. 정민호·한지영·박지원. (2023). 공무원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공직만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5(2), 243-258.
  55. 정원호·윤인수. (2016).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3(5), 135-156.
  56. 정지용·김지수. (2020). 리더십이 공공봉사동기와 분배의 공정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지방 공무원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7(1), 63-86.
  57. 조혜진·문국경. (2024). 조직차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6(4), 787-818.
  58. 진윤희·김성종. (2021). 공무원의 잠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20(4), 155-181.
  59. 최낙범·엄석진. (2013).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에서의 상호작용공정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3), 181-212.
  60. 최병윤. (2023). 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7(3), 92-123.
  61. 최윤희·전세혁·김서용. (2024). 조직혁신행동 영향요인 비교분석: 조직문화 유형의 직접,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3(2), 45-98.
  62. 태소희·오정록. (2023). 지방직 공무원이 인식하는 인사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2(1), 33-64.
  63. 표선영. (2020). 분배 및 절차공정성 인식이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계급과 조직문화가 가지는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2(3), 611-642.
  64. 하미승·이진만·공주·이병진. (2018). 인적자원관리 요인이 공직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7(1), 25-58.
  65. 한국행정연구원. (2024). 2023 공직생활실태조사 보고서.
  66.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 267–299.
  67.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68. Ambrose, M. L., & Schminke, M. (2009). The role of overall justice judgments in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A test of med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2), 491–500.
  69. Bernd, D. C., & Beuren, I. M. (2021). Self-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burnout in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work of internal auditors. Revista Brasileira de Gestão de Negócios, 23(3), 422-438.
  70. Bies, R. J., & Moag, J. F. (1986). Interactional justice: Communication criteria of fairness. In R. J. Lewicki, B. H. Sheppard, & M. H. Bazerman (Eds.), Research on negotiation in organizations(Vol. 1, pp. 43–55). Greenwich, CT: JAI Press.
  71.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Wiley.
  72. Borins, S. (2002).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3, 467–476.
  73. Breaugh, J. A. (1985). The measurement of work autonomy. Human Relations, 38(6), 551–570.
  74. Brewer, G. A. (2011). A symposium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Expanding the frontiers of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31(1), 3–9.
  75. Carmeli, A., Meitar, R., & Weisberg, J. (2006). Self‐leadership skills and innovative behavior at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7(1), 75–90.
  76. Colquitt, J. A. (2001).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386–400.
  77. Cropanzano, R., Byrne, Z. S., Bobocel, D. R., & Rupp, D. E. (2001). Moral virtues, fairness heuristics, social entities, and other denizens of organizational justi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2), 164–209.
  78. Cropanzano, R., & Mitchell, M. S. (2005). Social exchange theory: An interdisciplinary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31(6), 874–900.
  79. Cropanzano, R., Bowen, D. E., & Gilliland, S. W. (2007).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1(4), 34–48.
  80. Damanpour, F. (1991).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3), 555–590.
  81.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82. Deci, E. L., Olafsen, A. H., & Ryan, R. M. (2017). Self-determination theory in work organizations: The state of a science.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4, 19–43.
  83. Folger, R., & Konovsky, M. 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1), 115–130.
  84. Garnett, J. L., Marlowe, J., & Pandey, S. K. (2008). Penetrating the performance predicament: Communication as a mediator or moderator of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on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8(2), 266–281.
  85. Hackman, J. R., & Oldham, G. R. (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2), 250–279.
  86. Hobfoll, S. E. (1989).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4(3), 513–524.
  87. Hussain, S., & Shahzad, K. (2022). Unpacking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organizational cynicism relationship: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Asia Pacific Management Review, 27(1), 10-17.
  88. Janssen, O.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3), 287–302.
  89. Janssen, O. (2003). Innovative behaviour and job involvement at the price of conflict and less satisfactory relations with co-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47–364.
  90. Leventhal, G. S. (1980). What should be done with equity theory?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fairness in social relationships. In K. J. Gergen, M. S. Greenberg, & R. H. Willis (Eds.), Social exchange: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pp. 27–55). New York: Plenum Press.
  91. March, J. G., & Simon, H. A. (1958).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92. Masterson, S. S., Lewis, K., Goldman, B. M., & Taylor, M. S. (2000). Integrating justice and social exchange: The differing effects of fair procedures and treatment on work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4), 738-748.
  93.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94. Naff, K. C., & Crum, J. (1999). Working for America: Does public service motivation make a difference?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9(4), 5–16.
  95. Perry, J. L. (2021). Public service motivation: Putting our intellectual capital to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Perry, J. L., & Wise, L. R. (1990). The motivational bases of public serv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0(3), 367–373.
  97. Porter, L. W., Steers, R. M., & Mowday, R. T.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603–609.
  98. Purc, E., & Laguna, M. (2019). Personal values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Frontiers in Psychology, 10, 865.
  99. Ritz, A., Brewer, G. A., & Oliver, N. (2016). Public service motiv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outlook.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6(3), 414–426.
  100. Scott, S. G., &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101. Skarlicki, D. P., & Folger, R. (1997). Retaliation in the workplace: The roles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3), 434–443.
  102. Vandenabeele, W. (2007). Toward a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Public Management Review, 9(4), 545–556.
  103. Vandenabeele, W.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elf-reported performance: More robust evidence of the PSM–performance relationship.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75, 11–34.
  104. Williams, L. J., & Anderson, S. E.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7.
  105. Wright, B. E., Christensen, R. K., & Isett, K. R. (2013). Motivated to adapt? The rol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employees face organizational chang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3(5), 738–747.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38 articles / 76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22) 제25권 2호(논문 수 11)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