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2호
발행일
2025.06
수록논문
11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6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6 volumes
총 논문 수
738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교육배려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현행 법·제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교육 관련 법령(교육기본법, 평생교육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다문화가족지원법, 한부모가족지원법, 디지털포용법 등)을 대상으로, 체계성(법체계의 일관성과 권리 강제성), 충분성(지원 내용의 포괄성과 적합성), 효율성(전달체계의 통합성과 책임성), 안정성(재정 지원의 지속성과 예산 확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는 헌법-교육기본법-개별법 간 개념과 책무 규정의 연계가 미흡하고, 경제적 지원 위주로 정서·문화적 측면이 미진하여 충분성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역할 분담 측면에서 협력이 다소 부족해 효율성이 저해되고 있었으며, 재원의 안정성 또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복지 관련 법률의 통합적 체계 정비(예컨대 교육복지 기본법 제정 또는 범부처 협의체 구축), 수요자 맞춤형 지원 내용 확대(심리·사회적 지원 및 디지털 역량 강화 포함), 원스톱 전달체계 구축과 책임 주체 명확화, 예산 확보 명확화 및 성과 환류 장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supporting these groups through a public administration lens and proposes improvement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upport system for educationally disadvantaged groups lacks legal coherence across the Constitution, framework law, and special laws, undermining the structural foundation of rights. Support provisions are largely financial and do not sufficiently cover psychosocial, cultural, or digital needs, limiting adequacy. Roles of central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schools are ambiguously defined with insufficient coordination, reducing efficiency in policy delivery. Moreover, much of the support depends on non-mandatory funding, leading to weak stability in financing.This study recommends an integrated legal framework for educational welfare, expansion of support services to meet diverse learner needs, establishment a clear accountability, and securing mandatory budgets and feedback mechanisms to ensure financial sustain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Ⅳ. 교육배려계층 관련 법제도 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26)

  1. 교육부(2023). '2023 교육통계연보'
  2. 교육부(2023). '2023년 특수교육 통계'
  3. 교육부(2024).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4. 교육통계서비스(2024)
  5. 김경애(2012). 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8(4). 207-237.
  6. 김인희(2010).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17(1). 129-175.
  7. 김정원, 김경애, 김민(2010). 교육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이시습
  8. 노성(2022). 교육불평등 해소를 위한 고등교육법 제34조의8 신설의 법적 함의 고찰. 한국부패학회보 27(2). 145-164.
  9. 류방란, 김준엽, 송혜정, 김진경(2013). 자존감 향상, 우울 불안 감소에 미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4(3). 59-83.
  10. 백병부, 나현주(2019).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 분석: 경기도교육청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46(1). 41-71.
  11. 안영은, 이호준, 이해니(2023). 코로나 19 시기의 교육격차 실태 분석: 서울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1(1). 499-529.
  12. 여성가족부(2025). '2024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13. 오욱환(2017). 유아교육과보육 불평등의 묘판. 서울: 교육과학사
  14. 이혜영(2009).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교육복지 차원의 접근. 교육광장 31권. 20-21.
  15. 조순옥, 홍준희(2019). 취약계층 대상 평생교육 바우처 프로그램의 사회적 포용 관점에서의 성과 탐색. 평생교육·HRD연구 15(4). 81-104.
  16. 통계청(2024). '2024 고령자 통계'
  17. 한국정보화진흥원(2025). 2024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
  18. 허등용, 이선영(2019). 보통교부세의 재정조정기능 분석과 재정분권정책에 주는 시사점. 한국지방세연구원. 2018(6).
  19. 홍봉선, 남미애(2016).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회복적 정의 실천모형 적용에서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실행연구. 학교사회복지 35권. 303-337.
  20. 홍성우(2015), 존롤즈의 정의론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21.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Greenwood.
  22. Coleman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S95–S120.
  23. John D.(2009).Jeffrey L. Pressman and Aaron B. Wildavsky, Implement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pp. xviii, 18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Klesen, H. (1945). General Theory of Law and Sta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5. OECD (2018). Equity in Education: Breaking Down Barriers to Social Mobility. Paris: OECD Publishing.
  26. Sen, A. (1992). Inequality Reexamin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38 articles / 76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22) 제25권 2호(논문 수 11)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