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과 정책적 함의
Analysis of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Resolution of Regional Cultural Gap in the South and North of Gyeonggi-do
- 창간연도
- 2002년 2월
- ISSN
-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 등재사항
- KCI등재(2019.01 ~ 현재)
- 수록권호
- 제25권 2호
- 발행일
- 2025.06
- 수록논문
- 11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 발행기간
- 2002.02 ~ 2025.06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6 volumes
- 총 논문 수
- 738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북부의 문화부문 지역격차 실태를 분석하고 경기북부의 문화격차 해소방안을 도출해 제시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 경기북부는 경기남부에 비해 문화·관광환경 및 생활·주거환경이 모두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기북부의 지역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가 확인되었다. 첫째, 문화권 실현을 위해 경기북부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통한 지역문화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경기도 차원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교통 등) 확충과 관련 재원 마련을 통한 종합적인 발전계획 수립과 추진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인프라의 확충에 있어서, 각 기반 시설별로 면밀한 현황조사와 인구수요 예측 등을 통해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통한 근본적인 경기북부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노력도 매우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역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의 실질적 효과는 지역주민의 문화주체화 정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gional gap in the cultural sector in the south and north of Gyeonggi-do and derive and present a plan to close the cultural gap in the north of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and tourism environments and liv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all inferior to those of southern Gyeonggi-do, an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to bridge the regional cultural gap in northern Gyeonggi-do.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culture, a plan for planning,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ocal cultural programs throug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must be prepared. Second, practical and specific policy support at the Gyeonggi-do level is need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promote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by expanding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etc.) to revitalize cultural tourism and preparing related funds. Third, in expanding cultural infrastructur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t through a clos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frastructure and prediction of population demand. Finally, it seems that efforts to promote fundamental regional culture in northern Gyeonggi-d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gi-do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also very necessary. This is because the practical effect of policies to bridge the regional cultural gap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cultural subjectization of local residents.
목차
Ⅰ. 서론Ⅱ. 지역문화 격차해소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Ⅳ. 경기남부·북부의 문화격차 해소에 관한 주요 인식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45)
- 김광용·홍성우(2021). 문화예술 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1(2): 27-50.
- 김민경(2021). 문화격차 완화 목적의 중앙정부 정책에 대응, 지역중심 문화정책 수립과 실행 역량 강화 필요”, 「부산발전포럼」, 192: 88-95.
- 김성하 외(2019). 「경기도 문화예술진흥 중단기 종합계획 2020-2024」. 경기연구원.
- 김성하·황선아(2018). 문화자치, 패러다임 전환과 경기도 첫발, 「이슈&진단」, 320. 경기연구원.
- 김용웅(2020). 관행적 지역균형발전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지역정책론의 해체와 재구성」. 국토연구원.
- 김용창(2008). 「지방문화정책론」. 서울: 한울.
- 김종덕(2014). 「문화복지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류가연(2019).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인천 문화예술 공간 활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지역산업연구」, 42(2): 101-119.
- 류정아 외(2012). 지역문화정책 분석 및 발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31.
- 문화체육관광부(2019).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재원 확충에 관한 연구: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적 재정관계 구축을 중심으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20). 「문화도시 지정제도 안내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21).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0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박노동 외(2012). 「대전광역시 문화격차 해소 및 진흥방안 연구」, 대전: 대전발전연구원
- 박세희·이승권(2016). 지역문화자원과 콘텐츠개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9): 221-234.
- 박용치(2003). 문화격차와 문화산업의 육성, 「법률행정논집」, 10: 120~147.
- 박은실 외(2013). 「지역상생 및 특화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박태선·이미영·한우석(2014).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 박태선·이미영·한우석(2015). 지역 간 문화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국토정책 Brief」. 503: 1-5.
- 서우석·김정은(2010). 문화격차 해소에 대한 평가와 전망, 「문화경제연구」. 13(2): 3-26.
- 신상준·조일형(2024). 경기도민의 지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기도 북부와 남부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4(4): 67-92.
- 안남일(2019).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화격차 현안과 해소방안, 「대전세종포럼」, 71: 36-47.
- 오지운·성진·정주철(2023). 문화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와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58(1): 5-15.
- 유홍준(2011). 「문화권의 이론과 실천」. 서울: 현문사.
- 이도선·윤기찬(2008). 「경북북부권의 낙후실태와 광역적 발전방안 연구」. 대구경북연구원.
- 이병량(2023). 한국 문화도시의 진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이념, 전략, 정책으로서의 문화도시. 「한국정책연구」, 23(1): 49-71.
- 이재희(2010). 지방자치 이후 지역 간 문화격차 변동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8(4): 53-72.
- 장세길·육수현(2021). 문화향유 중심에서 사회혁신형으로 : 전라북도 사례로 본 문화자치역량 격차와 문화공동체 육성 방향, 「문화정책논총」. 35(1): 105-131.
- 장세길·이중섭(2013). 문화격차 해소정책 수립을 위한 지역유형분류의 다층적 접근방법 모색 :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1(3): 131-148.
- 장인봉 외(2023). 「경기도 남부·북부의 문화관광 분야 격차해소 및 균형발전방안 연구」. 경기도의회 정책연구용역보고서.
- 장인봉(2022).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을 위한 과제. 「경기도정책토론대축제 발표자료집」.
- 장인봉(2021). 경기북부 균형발전과 향후 대응방안. 「경기도의회 정책토론회 발표자료집」.
- 장인봉(2021).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자치분권. 「문재인 정부 5년, 성과와 과제 연속 토론회 발표자료집」.
- 전영옥(2004). 「문화자원 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 전영옥·장세길(2024). 지역문화정책 대상범위에 관한 연구 : 문화향유 격차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6(1): 359-369.
- 전 훈(2023). 지역간 문화예술 격차와 그 해소를 위한 법적 접근, 「문화예술과 법」, 3(2): 1-25.
- 조권중(2004). 「서울시민의 문화격차 : 실태와 정책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채경진·전보경·이상민(2024).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정책 변화과정 분석: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4(4): 23-42.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지역문화융성 대토론회 발표자료집」.
- 한상우 외(2009), 「경상남도 지역간 문화격차 해소방안-문화기반시설 확충을 중심으로」, 경남발전연구원.
- 홍윤미·윤기웅·이명우(2015).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17(1): 185-212.
- Bourdieu, P.(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 Landry, C. (2000).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London: Earthscan.
-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 UNESCO(2001).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Paris: UNESCO.
참고문헌 더보기
- 이전논문없음 (현재 논문이 "한국정책연구 제25권 2호"의 처음 논문입니다.)
- 다음논문주택보유 가구의 자산 구성과 조절효과 분석: 소득과 직업 안정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Asset Composition and Moderating Effects in Homeowning Households: Focusing on Income and Occupational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