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자녀 및 출산에 부여되는 사회적 의미와 출산 선택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개인의 서사(narrative)를 통해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과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토대로 출산 선택 경험이 있는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는 정서적 의미보다는 경제적·심리적 부담과 더 밀접하게 인식되었으며, 출산은 감정적 동기보다 현실 조건 속에서 조율되는 선택으로 의미화되…
본 연구는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를 구분한 후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OECD 12개 국가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더욱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과학기술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는 정치이념, 물질주의/탈물질주의 가치 등 가치・신념의 일부 요인과 참여, 대인신뢰 등 사회자본, 정부신뢰가 유의미한 영향변수로 제시되었다. 반면 부정적 태도에는 개인의 가치・신념 요인을 구성하는 모든 변수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접근과 퍼포먼스 이론으로 촛불집회의 성격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퍼포먼스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 내에서 최근 발생하고 있는 각종 정치적ㆍ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고, 대중의 의사소통과 자기표현의 발현에 따라 기존 정치가 근본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정치이데올로기의 관점으로는 촛불집회를 설명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었고, 퍼포먼스 이론의 접근으로는 정치 이데올로기 관점의 한계를 넘어 촛불집회의 새로운 면을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