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지식기반사회에서 조직이 경쟁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정적인 유형의 형태인 자원보다는 대체하기가 쉽지 않으며 모방이 어려운 차별화된 무형자원(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조직은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갖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해 채용・승진・개발・교육・훈련 등의 인적자원관리 관련 제도를 도입・개선하고 있으며, 축적된 선행연구들은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인적자원관리를 담당하는 각 조직의 HR부서가 가진 역량은 다양한 맥락에서 검증되어 왔지만,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