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자녀 및 출산에 부여되는 사회적 의미와 출산 선택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개인의 서사(narrative)를 통해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과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토대로 출산 선택 경험이 있는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는 정서적 의미보다는 경제적·심리적 부담과 더 밀접하게 인식되었으며, 출산은 감정적 동기보다 현실 조건 속에서 조율되는 선택으로 의미화되…
본 연구는 정책변동을 설명하는 대안적 이론으로서‘사회적 구성주의’와 담론연합의 실천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정책변동이론인 정책옹호연합모형 등 주류 정책이론은 객관적 인과성에 갇혀 인간이 언어와 담론을 통해 구성하는 주관주의적 세계를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안적 시각인 사회적 구성주의도‘사회적’개념이 매우 포괄적, 추상적이라고 지적하고, 행위자 집단으로서의 담론연합 도입을 통해 이의 한계를 보완한다. 즉, Hajer의 스토리텔링과 Austin의 언어행위이론을 통해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