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긍정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교사의 긍정조직행동 요인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이 연구는 지난 12년간의 조직침묵의 결과 분석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변수들을 대상만 바꾸어, 중복검증하는 경향이 강하다. 둘째, 조직침묵의 영향모형을 구조화한 Morrison과 Milliken(2000)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없다. 셋째, 민간과 다른 공공조직 내 침묵현상을 규명하려는 시도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이상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2009년부터 2020년 2월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에 근거하여 진성리더십과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 관계를 규명하고 관계 간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열의의 다중직렬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지방공무원의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문은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4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CB-SEM)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성리더십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열의를 통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성리더십이 지속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