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배려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현행 법·제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교육 관련 법령(교육기본법, 평생교육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다문화가족지원법, 한부모가족지원법, 디지털포용법 등)을 대상으로, 체계성(법체계의 일관성과 권리 강제성), 충분성(지원 내용의 포괄성과 적합성), 효율성(전달체계의 통합성과 책임성), 안정성(재정 지원의 지속성과 예산 확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배려계층 지원 법제도는 헌법-교육기본법-개별법 간 개념과 책무 …
본 연구는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확보 요인이 무엇인가를 정책 리터러시와 신뢰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인 정책 리터러시 요인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식수준에 대한 측정을 좀 더 확장하여,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포함한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정책 리터러시를 전통적 리터러시, 기능적 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로 구분하고, 신뢰 및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정책 리터러시 중 전통적 리터러시와 기능적 리터러시는 신뢰와 수용성…
최근 지역간 소득불균형 및 정보격차 등 양극화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역별 균형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의 일환으로 소득불균형과 정보격차의 문제가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정보격차 측정의 방법론으로서 Porat의 정보화지수, 사회경제적 지표에 의한 지역정보지수 그리고 정보지수와 소득불평등도와의 교차항에 의한 방법으로 정보격차를 측정해 보았다. 광역자치단체별로 1998년부터 2004년까지 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이용율과 소득불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