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공유리더십과 정서적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공유리더십은 단일 리더가 아닌, 구성원 전체가 분산된 리더십을 수행함으로써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보다 수평적인 조직 체계를 지향한다. 최근 조직 내 갑질 문제가 다수 발생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수평적 조직문화를 수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또한 공정하고 수평적인 업무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
현실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인사나 정책결정과정에서 연고주의가 중요한 영향을 발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고주의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인사공정성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서로 상이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체계적인 설명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연고주의와 인사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고주의 구성요소인 지연과 혈연은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