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긍정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교사의 긍정조직행동 요인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지식기반사회에서 조직이 경쟁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정적인 유형의 형태인 자원보다는 대체하기가 쉽지 않으며 모방이 어려운 차별화된 무형자원(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조직은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갖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해 채용・승진・개발・교육・훈련 등의 인적자원관리 관련 제도를 도입・개선하고 있으며, 축적된 선행연구들은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인적자원관리를 담당하는 각 조직의 HR부서가 가진 역량은 다양한 맥락에서 검증되어 왔지만, H…
본 연구는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셀프리더십이 개인과 조직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대국민 서비스를 수행하여 국민 생활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무원에게도 요구되므로 그들의 조직 문화와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이 셀프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회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조직 문화의 개별 특성과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은 셀프리더십의 세 가지 구성 개념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달랐다. 조직문화의 경우 집단문화는 자연적 보상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
본 연구는 병원조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업무개선을 위한 전략적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업무개선을 위한 전략적 태도가 와 전략적 행동 사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셀프리더십의 하위 개념인 자기기대, 자기보상, 건설적 사고를 매개하여 전략적 행동의 강화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지에 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도권의 A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분석결과, 셀프리더십의 세 가지 구성 개념들은 모두 전략적 태도에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