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그동안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목표모호성이 이직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실증연구가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표모호성과 이직 의도 간의 선형적 관계뿐만 아니라 비선형적 관계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목표모호성의 복잡한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또한, 상황적 조건으로서 조직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이러한 관계에 어떻게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여, 목표모호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행복도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행복도 연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후생복지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업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직무와 관련된 요인들을 포함하여 공무원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직무요인이 복지요인과 행복 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여성인 경우, 기혼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다. 둘째, 복지요인에서는 좋은 근무환경, 높은 급여수준 및 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