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 이론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조직몰입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도시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448부의 설문 자료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우리나라 공무원의 이직의도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직의도는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실제 자발적 퇴사로 이어질 수 있다. 공공조직의 성과 제고와 안정적인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공공봉사동기에 주목하였다.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의 가치관과 조직의 목표가 일치할 때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사회적 교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