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사회서비스 정책은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 주요 집단 및 지역사회 및 수요자 중심의 공급체계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민간 공급기관의 참여는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민간 공급기관 간의 협업 및 연계 강화를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연구는 조직 간 협업을 강화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간 협업에 있어 지방정부의 평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민관협의체 참여는 부정적인 영향을…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 등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사무행정학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사무행정학의 개념을 확인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사무행정직의 업무범위와 직무기술을 정리하였다. 이어 경인지역 사무행정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무행정학과의 교육과정은 실무교과목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서작업이나 회의 운영, 인사관리 등의 교육을 하는…
본 연구는 Kano 모형을 이용하여 전문부사관을 양성하는 지방대학 부사관학과의 교육품질에 대한평가를 실시하여, 지속적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의 부사관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Kano 이론에 기반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함으로서 중요도와 수준(만족)을 분석하고 지방대학의 부사관교육서비스 경험자들이 느끼는 서비스품질 속성들에 대해 어떠한 관리방향을 모색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과정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4가지 품질속성은 당연시 요구되는 품질속성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