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사조직의 중간관리자들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을 어떻게 창출하고 통합시키는가를 밝혀내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는 다음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해당공사조직의 중간관리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양식들을 분석가형, 직관형, 실용형으로 나누어 접근하고, 지식획득, 문제해결, 지식공유, 지식보유, 지식저장 등, 프로세스별로 해당관리자들이 보여주고 있는 활동특성들을 조사하였다. 특별히 현장중심의 접근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공공조직의 사무관 42명, 민간조직의 과…
이 논문은 C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여 자원기반관점에 따라 지식관리역량과 지식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발견기술이 조직효과성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발견기술이 지식을 조직효과성과 연계시켜주고 있는 통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설계구조 또한 조직효과성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조직업무를 조직화하는 절차와 보상체계, 외부와의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한 조직의 개방성과 유연성을 제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